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의 역사

조선시대 제1대 태조 이성계에 관한 자료

반응형

조선시대 최고령의 나이로 즉위한 임금 태조 이성계

조선시대 왕들은 대개 빠르면 10~30대에 즉위를 하여 40대에 승하를 하였습니다. 그시대 당신의 왕들의 평균 수명은 많아봐야 40대였습니다. 그럼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의 즉위 당시는 몇 살이었을까요? 태조 이성계는 1335년생이고 조선을 건국한 년도는 1392년입니다. 나이를 계산해보면 그가 왕위에 올랐을 때의 나이가 57세였습니다. 이것은 그 당시에 엄청난 것입니다. 현대사회에서도 남자 나이 57세면 적지 않은 나이이며, 그런데 조선시대에 57세면 초고령의 나이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조선시대를 통틀어도 역대 최고령의 나이로 즉위한 임금입니다. 그리고 태조 이성계가 최고령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후계자 문제는 문제가 건국 직후부터 가장 중요한 사항이었습니다. 이성계는 총 8명의 아들을 두고 있었습니다. 첫째 부인인 신의 황후 한 씨에게서는 6명 두 번째 부인에게서는 2명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신의왕후 한 씨는 조선 건국 전에 사망을 했기 때문에 그녀를 대신해 부인의 역할을 한 것은 두 번째 부인인 강 씨였습니다. 원칙대로라면 장남인 이방우가 왕세자 자리에 앉아야 하지만, 정작 이방우는 자리에 관심이 없었습니다. 게다가 그는 조선이 건국된 지 1년 만에 죽었고 따라서 다른 왕자 중에 후계자를 정해야 했고 건국에 대한 공을 따진다면 이방원이 되어야 했습니다.

 

태조 이성계의 한양 천도와 정신적 지주 정도전

태조 이성계를 얘기할 때 한양 천도와 정신적 지주 정도전을 빼고 얘기를 할 수가 없습니다. 먼저 한양 천도에 대해서 얘기를 하겠습니다. 새 시대를 연 이성계의 생각에는 개경 즉 오늘날의 개성이 여간 불편했습니다. 개경은 오랫동안 고려시대의 터전이었고, 여전히 이성계의 반대판 세력이 자리를 잡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풍수지리를 보면 개경은 이미 터가 많이 안 좋아진 상태였습니다. 그것 때문에 새로운 수도를 의논하게 되고 많은 의견 중에 한양 즉 오늘날의 서울이라는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한양은 한강과 가까이 있으며 수로를 통하여 세금을 걷기 좋았고, 뒤로는 산이 병풍처럼 그야말로 배산임수로 최공의 명당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정도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실질적으로 조선의 틀을 잡은 것은 정도전이었습니다. 이것은 이성계도 부정할 수 없었습니다. 우리한테 잘 알려져 있는 삼봉 정도전 정도전은 성리학자입니다. 정도전은 신권 중심의 세상을 꿈꾸었습니다. 정도전이 가장 경계를 하였던 것이 왕조 체계에서 오는 폐단이었습니다. 흔히 왕조라는 것이 아버지에서 아들로 대를 잇기 때문에 어떤 왕이 나올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어떤 성향으로 나올지 알 수도 없고 성군, 또는 폭군이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폭군이 나와 나라를 위태롭게 망하게 할 수 있는데 이를 방치하는 체계와 시스템을 만든 게 바로 삼봉 정도전입니다. 이것 하나만 보더라도 조선의 거대한 틀을 만든 장본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성계는 중요한 문제와 고민이 있을 때 항상 정도전에게 얘기를 하고 의지를 많이 했습니다.

 

조선시대  최초의 비극 왕자의 난 

조선시대에 최초의 비극이라고 볼 수 있는 왕자의 난이 태조 이성계 때 발생합니다. 이성계의 아들 중 다섯 번째 아들 이방원이 있습니다. 왕자의 난을 얘기할 때 이방원을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방원은 조선 개국에 손꼽히는 공신입니다. 하지만 조선 건국 후 이방원은 마땅한 보상은커녕 대접조차 받지를 못했습니다. 막냇동생에게 왕위 계승 자리를 빼앗기고 또 스승이자 자신의 최대 적인 삼봉 정도전이 요동정벌을 핑계를 삼아 이방의 사병을 혁파를 하려고 했습니다.

결국에는 이방원이 불만을 품고 사건을 내고 마는데 그게 바로 제1차 왕자의 난입니다. 이방원이 제1차 왕자의 난을 했던 명분은 정도전이 신의왕후 한 씨의 아들들을 죽이려고 했다는 것입니다. 이방원은 결국에는 정도전을 죽이고 이복형제 방법과 세자 방석까지 죽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이 난으로 인하여 아끼던 신하와 두 아들을 한꺼번에 잃고 크게 상심하고 좌절하였습니다. 이 이후에도 왕자의 난이 더 있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왕자의 1차 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