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의 역사

조선시대 제8대 예종 이황에 관한 자료

반응형

조선시대 최연소 아빠가 된 제8대 왕 예종

조선시대 제8대 왕 예종은 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납니다. 세조의 장남이었던 의경세자와 나이 터울이 크고 의경 세자가 이미 장성한 후에 태어났기 때문에 왕위 계승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첫째 아들인 의경세자가 요절을 합니다. 그래서 결국 죽은 형을 대신하여 세자가 됩니다. 예종은 성인이 되기 전인 18세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 정희왕후가 수렴청정을 합니다. 예종은 19살 왕이 될 때 이미 3세인 아들이 있었습니다. 지금 보면 이게 가능한 일인가 의문이 들 겁니다. 이게 어떻게 된 일이냐면 예종이 세자 시절에 11세의 어린 나에 에 한명회의 딸인 장순왕후 한 씨를 아내로 맞이 했습니다. 그리고 그다음 연도에 아들 인성 대군을 출산합니다.

정리를 하자면 12세의 소년이 아버지가 된 겁니다. 이것은 조선의 역대 왕 중에서 최연소로 아버지가 탄생한 것입니다.

어떻게 이럴 수가 있었는가 의문이 들 겁니다. 예종은 왕자의 신분이고 식사와 영양 모든 면에서 최고의 관리를 받았을 겁니다. 그래서 또래들보다 훨씬 신체가 성숙하고 발달해서 그런 거라 생각이 됩니다.

참 슬픈 얘기를 해야겠습니다. 아들을 낳은 장순왕후 한 씨는 산후병으로 사망하고 아들인 인성 대군 역시 3세의 어린 나이로 병으로 죽게 됩니다.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우리에게는 예종이 익숙하지 않은 왕입니다. 왜냐하면 재위 기간이 15개월밖에 되지 않고 앞에 왕인 세조가 너무 영향력이 컸기 때문입니다.

 

파격적인 당대 스타 남이 그리고 우리에게 주는 교훈

예종을 이야기하면 남이를 얘기를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남이는 16세 과거에 합격 26세에 1등 공신으로 책봉되었으면서 다음 연도에는 병조판서가 되는 말대 그로 초스피드로 승승장구한던 인물입니다. 조선시대 당시에 과거 급제의 평균 나이는 30세 전후였습니다. 그러나 남이는 16세에 과거 급제를 했으니까 오늘도 따지면 10세에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말 대단한 것입니다. 그리고 남이의 할머니는 조선 3대 임금인 태종의 넷째 딸 정선 공주고 장인은 좌의정까지 올랐던 권람입니다. 집안과 실력 두 가지 모두 갖추었던 대단한 인물이 바로 남이입니다.

또 남이가 결정적으로 스타가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세조 집권 당시 무인으로 활약하면 세조 13년에 일어난 이시애의 난을 진압했습니다. 두말할 필요 없는 그 당시에는 조선의 스타였습니다.

그런데 남이는 예종이 왕위에 오르자 바로 병조판서에서 실각됩니다.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은 유지광이란 인물이 남이의 역모 사실을 발설했기 때문입니다.

사건의 발단은 남이가 유지광과 같이 숙직을 할 때 갑자기 하늘에 혜성이 나타납니다. 그때 남이가 말을 합니다.

"헌 것이 사라지고 새것이 오려는 징조네" 이 말을 들은 유지광은 그대로 보고 하였고 이 한마디 때문에 남이는 역모를 꾀 한 것이 돼 혹독한 고문을 받습니다. 남이는 초반에 역모 사실을 부인하지만 고문 끝에 결국 자백을 하고 사흘 후에 거열형을 받게 됩니다. 잘 알려 지진 않지만 이게 일명 남이의 옥 이란 사건입니다.

이런 걸 보면 잘 될 때일수록 겸손하게 말조심을 항상 해야 한다는 걸 배울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고 의문스러운 예종의 죽음

예종은 어릴 때부터 고질병을 달고 살았습니다. 그것은 바로 발에 생기는 족질이라는 병입니다. 의문스러운 게 있다면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기록들을 살펴보면 족질이 죽을 만큼 생각했던 것은 아닌 걸로 기록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실록에는 예종의 중음이 아주 갑작스러운 것으로 기록되어 잇고 신하들 역시 당황한 걸로 보아 예종의 죽음은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걸로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종의 죽음에는 독살설에 휘말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록에서는 독살설에 대한 근거를 전혀 찾을 수가 없습니다.

예종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지 못하지만 세조의 아들답게 세조만큼이나 왕권강화를 하려고 노력했던 왕이었습니다.

당시 시대상황이 안 좋았기 때문에 예종도 나름 힘들었을 걸로 생각이 됩니다.

고질병만 아니었다면 공신 견제와 왕권강화에 더욱 힘을 썼을 겁니다.

20살도 안 되는 어린 나이에 왕이 되고 아버지가 되어 많이 힘들었을 생각을 하면 안타 울 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