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의 역사

조선시대 제10대 연산군 이융에 관한 자료

반응형

조선시대 반전의 폭군 제10대 연산군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연산군을 폭군 또는 미친 왕이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조선시대 아니 우리나라 역사상으로 가장 손꼽히는 악덕과 살육을 했던 왕이었기 때문입니다.

또 조선왕조 최초로 신하들에 의해서 왕의 자리에서 쫓겨난 인물이기도 합니다.

연산군은 어릴 때부터 이러한 모습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왕세자 시절을 보면 딱히 뛰어나지도 않고

그렇다고 해서 부족하지도 않은 한마디로 존재감 없는 왕세자였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세자 시절 연산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 폐비 윤 씨가 죽었는데 어머니의 일을 정확하게 잘 몰랐습니다. 

그리고 어머니가 죽고 가족들이 자기를 멀리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연산군은 폐비 윤 씨의 아들이지만 성종의 적장자였기 때문에 7세 때 세자가 되었고 12년 동안 왕세자 교육을 받습니다.

그리고 19살이던 때에 아버지 성종의 뒤를 이어 제10대 왕으로 즉위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산군이 왕이 되고 어머니의 죽음의 원인을 알게 되어 미쳤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연산군 왕이 되고 초반에는 빈민을 구제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임금이었습니다. 그리고 선대왕들부터 진행되었던

여러 편찬사업을 마무리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여지승람, 국조보감이 이때 완성되었습니다.

게다가 왜구를 여러 번 물리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당시 궁의 큰 어른이었던 3명의 대비도 잘 모셨습니다. 또 신하들의 힘이 강해지자 다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 왕이기도 합니다.

 

연산군 시절 강한 피바람이 분 무오사화

조선시대 하면 사화에는 총 4차례가 일어납니다.

사화는 조선의 사림파가 훈구파에 의하여 목숨을 잃는 사건을 말합니다.

연산군 때에는 총 2번의 사화가 일어납니다. 그중에 무오사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무오사화는 사초가 원인이 되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사초란 실록을 만들기 위한 역사기록입니다.

사초 중에서도 사림의 대표였던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이 계기가 되어 일어났습니다. 조의제문은 심종직이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글을 쓴 것입니다.

이 글을 훈구대신이 발견하였습니다. 여기서 얘기를 해야 할 것이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은 절대 이를 외부에 공개하면 안 됩니다. 하지만 사관이 이 글을 훈구세력인 유지광에게 이야기했고 유지광이 연산군 에게 일러바칩니다. 

이때 당시에 연산군은 기고만장인 사림파의 세력을 약화시킬 생각만 하던지라 기회라고 여겼습니다.

연산군은 조의제문을 읽으며 화가 머리끝까지 납니다. 왜냐하면 연산군은 수양의 증손자이기 때문에 자신의 증조할아버지를 욕하는 것은 곧 왕인 자신을 욕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훈구파의 계락과 왕권강화를 하고자 했던 연산군의 목적과 일치하면서 여러 사림파 신하들이 목숨을 잃거나 귀양을 가게 됩니다. 조의제문을 쓴 김종직은 이미 죽은 후였기 때문에 부관참시를 당합니다.

부관참시랑 관에 있는 시체를 다시 절단하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의 최고의 벌입니다. 

이런 것을 보았을 때 당시 연산군이 얼마나 분노했는지 화가 났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1000명이 넘는 기생과 향락을 즐기고 자멸한 폭군 연산군

연산군은 전국 팔도에 있는 기생들을 둡니다. 그 수가 1000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그 많은 기생들을 분류를 하였습니다. 재주가 많으면 운평이라 하고 재주뿐만 아니라 얼굴이 이쁘면 흥청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렇게 많은 기생들은 세조가 세운 원각사에 수용됩니다. 연산군은 수많은 기생들에게 많은 상들을 주고 궁궐에서 함께 향락을 즐깁니다. 너무 많이 놀아서 국고는 점점 줄어가게 되고 나라가 망할 정도까지 놀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흔히 쓰고 잘 알고 있는 흥청망청이란 단어가 나옵니다. 이렇게 된 이유를 보면 어머니의 죽음 또한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또 연산군은 이해를 할 수 없는 행동을 많이 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학문을 연구하는 성균관의 대성전을 동물원으로 만들고 동물을 좋아하고 키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이 직접 동물들을 사냥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결국 연산군 주변에는 자신을 보필할 충신은 한 명도 없게 됩니다. 바른말을 하는 신하는 모두 죽이거나 유배를 보냈기 때문에 간신만 주변에 남았습니다. 이때 바로 그 유명한 영화 간신에 나오는 임사홍과 그의 아들 임숭재가 있습니다.

연산군에게 미녀를 갖다 바치려고 최선을 다해 노력한 간신 배중의 충신이었습니다.

날이 갈수록 연산군의 폭정은 심해지고 국고는 바닥이 나 신하들이 반정을 일으켜 연산군은 강화도로 유배됩니다.

그리고 2개월 뒤에 병으로 삶을 마감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