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전쟁의 영웅 제15대 왕 광해군
광해군은 제14대 선조와 후궁 공빈 김 씨 사에에 차남으로 출생합니다. 선조는 당시 왕비와의 사이에서 자녀가 없어
후궁 공빈 김 씨와의 사이에 장남 임해군과 차남 광해군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장남인 임해군의 성질이 워낙 포악하여
신하들은 광해군을 후계자로 지목하였습니다. 임진왜란 시기에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은 전장을 누비며 전쟁의 총사령관 역할을 충실히 하는 아버지와 다른 모습을 보였습니다. 선조가 승하하고 광해군이 제15대 임금이 됩니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동안 수많은 전쟁을 치르면서 백성들의 마음과 힘듬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되었습니다.
왕이 되고 초반에는 전쟁으로 인하 피해를 복구하는데 전력을 기울입니다.
많은 것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양전 사업, 동의보감, 대동법을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대동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대동법은 조선 최고의 세금 개혁제도입니다.
조선은 세금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징수했습니다. 토지를 중심으로 한 저세, 노동력 중심으로 한 역, 각 지역의 특산물을 내는 공납이 있습니다. 근데 이 3가지 중 가장 문제가 심했던 게 공납이었습니다.
조선시대는 지금처럼 상업이나 화폐의 유통이 활발하지 않아 국가에서 필요한 물품이 생기면 해당 지역에서 내도록 했습니다. 세금의 납부기준은 집집마다 였습니다. 빈부를 떠나 모두 특산물로 세금을 내야 했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니 시간이 흐를수록 수량을 정확하게 내는 게 불가능해집니다.
이런 것들로 인하여 많은 비리들과 탐관오리가 판을 쳐서 백성들은 지치고 지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오랜 세월 힘들어하는 것을 본 광해군은 지역의 특산물이 아닌 대신 쌀 하나로 통일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대동법입니다. 그리하여 백성들은 다시 안정적으로 살 수 있게 됩니다.
어머니를 폐하고 동생을 죽인 왕 광해군
광해군 하면 폐모살제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폐모살제란 어머 닐를 폐하고 동생을 죽였다는 뜻입니다.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처음부터 이야기를 하자면 경북 문경새재에 강도사건이 발생합니다.
당시 범인들은 수백 냥을 도둑질했습니다. 그리하여 범인들의 정체를 알아보니
주요 관리들의 서자 즉 첩의 소생 7명으로 밝혀집니다. 그런데 이 사건이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파에 의하여
정치적 사건으로 변질이 됩니다. 당시의 범인들이 훔친 돈이 광해군을 제거하고 영창대군을 왕으로 세우기 위한
자금으로 쓸려고 한다고 몰아가는 것입니다. 영창대군이 누구냐면 선조의 새 왕비의 아들입니다. 한마디로 선조의 적장자인 것입니다. 이는 광해군과 대북파에게는 항상 눈엣 가시였을 겁니다. 이로 인하여 인목왕후의 아버지 김제남이 죽고 영창대군은 강화도로 유배를 가게 됩니다. 그리고 얼마 안 지나 영창대군의 작은 골방에 불을 때서 증살 시킵니다.
한마디로 영창대군의 방을 뜨거운 사우나로 만들어 질식해 죽인 것입니다.
인목왕후는 광해군보다는 나이가 어렸지만, 당시 나라 법으로는 명백한 어머니이기 때문에 죽일 수 없었습니다.
대신에 창덕궁 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손발을 완전히 묶은 것입니다.
이것을 보고 바로 폐모살 제라고 합니다. 광해군과 그의 세력들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함이지만 당시 대의, 명분, 효를 중시하는 반대파 서인들에게는 용서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서인을 중심으로 남인의 동조로 인조반정이 일어나다
폐모살 제로 인하여 서인을 중심으로 남인이 동조하여 인조반정이 일어납니다.
광해군과 그전에 왕이 었던 인조는 엄연히 서로 아버지와 아들이 아닌 삼촌과 조카의 관계입니다.
인조는 삼촌인 광해군에 대한 반감이 컸습니다. 왜냐하면 광해군이 자신의 불안한 왕위를 지키기 위해 위협이 될 만한
종친들을 모두 제거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종친 견제로 인하여 한 왕족의 반발과 폐모살제 그리고 중립 외교에 대한 신하들의 반발이 서로 일치하면서 인조반정이 일어나게 됩니다. 당시의 광해군의 중립외교는 당시의 시각으로 봤을 때 비판받아 마땅한 일입니다. 당시에는 성리학의 관점으로 정치를 운영하는 게 당연했습니다. 지금 시대에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겠지만요.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광해군은 몸을 숨기지만 금방 발각되어 강화도 교동에 유배됩니다.
이후 제주도로 옮겨지게 됩니다. 광해군은 49세의 나이에 폐위되어 18년 동안 67세의 나이까지 유배생활을 하고 죽게 됩니다. 오랜 생활 동안의 유배생활을 보면 재기에 대한 꿈이 컸던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제17대 효종 이호에 관한 자료 (0) | 2022.05.09 |
---|---|
조선시대 제16대 인조 이종에 관한 자료 (0) | 2022.05.09 |
조선시대 제14대 선조 이균에 관한 자료 (0) | 2022.05.06 |
조선시대 제13대 명종 이환에 대한 자료 (0) | 2022.05.05 |
조선시대 제12대 인종 이호에 관한 자료 (0) | 2022.05.05 |